단국대학교는 25일 오전 10시 난파음악관에서에서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총리에게 한국에 대한 깊은 인식과 우애 정신을 바탕으로 동아시아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 노력한 공로로 명예정치학박사학위 수여식을 진행했다.
|
이날 수여식에는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총리 부부와 단국대 장충식 이사장과 김수복 총장, 김영진 전 농림부장관, 소강석 목사(새에덴교회)등이 참석했다.
소강석 목사와 김영진 전 장관(3.1운동유엔유네스코등재위원회 이사장)은 축사를 전했다.
소 목사는 축사에사 “하토야마 수상께서는 동북아 평화를 위해 한중일 동아시아 공동체론의 정치철학을 갖고 계신 분”이라며 “그렇기에 일본을 대신해 서대문 형무소에서 무릎을 꿇고 사죄했을 뿐 아니라 사과란 피해자가 됐다고 할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을 해오신 분”이라고 말했다.
이어 “이것은 성경적 가치관과 기독교적인 세계관이 아니면 불가능한 일일 것”이라며 “이러한 하토야마 전 수상님의 사상과 철학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사모님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.”고 밝혔다.
|
소 목사는 “일본은 우리 민족에 큰 아픔과 상처를 가져다 주었다. 그리고 아직도 반성과 사과를 하려고 하지 않는다.”며 “그렇지만 하토야마 수상께서는 일본이 자행한 지난날의 과오를 사죄하고 한일의 갈등을 화해하며 더 나은 미래로 나가자고 하고 계신다.”고 말했다.
김영진 전 장관은 축사를 통해 “ 하토야마 전 일본총리에게 단국대학교에서 그의 정치철학을 감안하여 뜻 깊은 정치학명예박사학위 수여식을 거행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장충식 이사장과 김수복 총장에게 감사를 드린다.”고 말했다.
|
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는 답사에서 단국대학교에 감사를 나타내는 한편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 일본 정부의 태도를 비판했다. 그는 “강제징용 문제는 국가 간 협정이나 조약으로 소멸시킬 수 없는 인권법의 상식”이라며 “국제인권법의 정신은 개인의 손해 배상권을 국가 간 협정이나 조약에 의해 소멸시킬 수 없다. 이는 일본도 비준했던 내용이었다”
또한 “일본은 상대(한국)가 더 이상 사과하지 않아도 된다고 할 때까지 사죄의 마음을 지속적으로 가져야 마땅하다. 이런 자세라면 일본군 성노예 문제(위안부)와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, 일본의 수출규제 문제, 지소미아(GSOMIA)도 해결할 수 있다.”고 강조했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