숭실대학교 기독교통일지도자훈련센터(센터장 하충엽 교수)는 지난 2월 24일 오전10시30분에 숭실대학교에서 “한국교회 통일선교사역 실태조사”의 결과 발표회를 가졌다.
|
이번 발표회는 한국기독교언론포럼(이사장 지형은 목사)과 목회데이터연구소(대표 지용근), 북한사역목회자협의회(대표 정베드로 목사), 북한기독교총연합회(회장 김권능 목사)의 공동주관으로 진행됐다.
‘한국교회 통일선교사역 실태조사’는 ㈜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하여 지난해 10월 8일부터 10월 13일까지 진행되었다. 조사대상은 전국에 있는 모든 목회자를 교단과 상관없이 편의추출하는 방식으로 총 500명의 유효 표본을 조사하였고, 이는 목사 모집단 수를 100,000명으로 가정할 경우, 95% 신뢰수준에서 표집오차 ±4.37%이다.
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89.8%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10년 이내 통일이 가능할 것 같다고 본 응답자가 39.4%로 나타났다. 이에 대한 질문에 ‘국민’은 21.5%였다.
또한 통일의 방식은 65.6%가 ‘점진적인 방식으로 통일’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.
통일이 되어야 하는 이유로는 ‘남북 간에 전쟁 위협을 없애기 위해’가 34.2%, ‘같은 민족이니까“라는 이유가 30.2%로 조사되었다.
북한에 대한 인식은 응답자의 76.2%가 북한을 ‘협력/지원대상’이라고 생각했고, ‘협력/지원대상’ 응답자 가운데 62.4%는 ‘협력해야 할 대상’이라고 응답했고 13.8%는 ‘지원대상’이라고 응답했다.
‘북한정권이 앞으로 안정될 것인가’에 대해서는 58.2%가 ‘안정화에 동의하지 않는다’고 응답했다. 이 질문에 ‘국민’은 25.4%였다. 일반 국민보다 목회자들이 북한 정권의 미래를 불안정하고 보고 있다는 것이다.
|
목회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70.4%는 ‘통일/북한선교 사역은 유지되어야 한다’고 응답했다. ‘축소해야 한다’는 3.2%에 불과했다.
목회자들은 ‘통일/북한 선교의 가장 큰 장애요인’으로 47.5%가 ’교회 내 공감대 부족‘을 꼽았으며, 44.7%는 ’북한선교에 대한 정부 부족‘, 41.8%는 ’헌신자 부족‘이라고 응답했다.
‘향후 통일/북한선교’에 대해서는 67.0%가 ‘다음세대 대상 교육’이라고 응답했고, 48.2%가 ‘인도주의적 지원 강화’, 31.8%는 ‘장년 대상 교육’이라고 응답했다.
‘북한 관련 접촉 경험’을 묻는 질문에는 ‘북한/금강산/개송 방문 경험’은 10.8%였다. 동일한 질문에 ‘국민’은 3.4%였다. ‘탈북자를 만난 경험’은 70.8%였다. 또한 ‘대북 관련 활동 단체에 참여한 경험’을 묻는 질문에는 26.2%였다.
‘현 사역 교회에 탈북민 출석 여부’를 묻는 질문에는 ‘현재 출석’이 22.2%, ‘전에 출석’이 16.6%, ‘출석한 적 없음’이 72.2퍼센트로 나타났다.